맨위로가기

아우토반 5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토반 5호선(A 5)은 독일의 고속도로로, 하텐바흐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프랑크푸르트, 카를스루에, 프라이부르크를 거쳐 스위스 국경까지 이어진다. 1920년대에 함부르크에서 바젤까지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며, 1933년 프랑크푸르트와 다름슈타트 구간이 건설되면서 시작되었다. 1975년 아우토반 넘버링 제도가 도입되어 A 5로 정식 지정되었고, 1980년 스위스 국경까지 개통되면서 국제 도로가 되었다. 노선은 헤센 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를 지나며, A 7, A 6, A 8 등 여러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독일의 고속도로 - 아우토반 995호선
    아우토반 995호선은 독일 바이에른주를 지나는 아우토반이자 유럽 고속도로 E54의 일부로, 뮌헨 외곽 교통 흐름 개선과 주변 지역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며, 호헨브룬 고속도로 유지 관리 부서가 유지 관리를 담당한다.
아우토반 5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국가독일
노선 종류A (아우토반)
노선 번호5
총 연장445 km
개통(정보 없음)
폐쇄(정보 없음)
방향 (기점)북쪽
기점니더라울라 근처 하텐바흐 삼각지 (아우토반 7호선)
방향 (종점)남쪽
종점바젤 근처 스위스 국경
경유 주헤센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주요 경유 도시
노선 정보 2
이전 노선 번호4
다음 노선 번호6
아우토반 5호선 노선도
아우토반 5호선 노선도
아우토반 5호선 노선도
아우토반 5호선 노선도

2. 역사

아우토반 5호선(A 5)의 건설 계획은 1920년대 함부르크에서 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하여 바젤에 이르는 노선(HaFraBa 프로젝트)을 구상하면서 시작되었다. 1933년 9월 23일 프랑크푸르트다름슈타트를 잇는 구간이 착공되어 1935년 5월 19일에 개통되었다. 이 구간은 아우토반에서 가장 오래된 구간 중 하나이다 (가장 오래된 구간은 1932년에 개통된 쾰른- 간 도로로, 현재의 A 555이다).

원래 A 5는 함부르크와 바젤을 잇는 노선의 남부 구간이었다. 함부르크에 이르는 북부 구간은 현재 A 7로, 다름슈타트와 만하임 사이의 구간은 현재 A 67과 A 6 구간으로 지정되어 있다. A 5 본선은 1960년대에 개통된, 동쪽 지역을 달리는 새로운 노선이다.

2. 1. 나치 시대

1933년 9월 23일 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프랑크푸르트다름슈타트 사이의 첫 번째 구간 건설이 시작되었다. 나치 선전은 이 프로젝트를 "지도자의 아우토반"과 "독일 최초의 아우토반"이라고 거짓 선전을 하였지만, 최초의 공공 아우토반은 1932년 8월에 개통된 쾰른- 고속도로(나중에 A 555로 불림)였다. 이는 나치 선전이 Reichsautobahn 프랑크푸르트-다름슈타트가 독일 최초로 건설된 것이라고 선포하도록 하기 위해 주 고속도로로 강등되었다.

1926년, 한 사적 협회가 함부르크를 거쳐 프랑크푸르트에서 바젤로 이어지는 고속도로(HaFraBa)를 제안했지만, 이 계획은 바이마르 공화국 국회에서 공산주의자와 나치의 연합에 의해 중단되었다.[2] 히틀러는 1933년 집권 후에도 이 계획을 활용했다.[2] 그러나 히틀러가 동서 노선을 선호했기 때문에 작업은 느리게 진행되었다.[2] HaFraBa는 "Reich 고속도로 준비 회사"로 번역되는 "Gesellschaft zur Vorbereitung der Reichsautobahnen"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

2. 2. 전후 시대

전쟁 이후, 생태학적인 이유로 A 5를 북쪽으로 연장하려는 계획은 폐기되었다. 대신, 기센 근처에 건설 예정이었던 A 48의 이미 완성된 구간을 사용하여 A 5를 함부르크에서 오는 A 7과 연결했다. HaFraBa 노선은 1962년에 최종 완공되었으며, A 5의 남부 노선은 다름슈타트, 하이델베르크, 카를스루에, 라슈타트, 바덴바덴, 프라이부르크, 바일암라인을 거쳐 바젤 근처 스위스 국경에서 Bundesautobahn 98 및 B3에서 끝난다. 프랑크푸르트 근처의 이 고속도로는 하루 평균 150,000대의 차량이 통행하는 독일에서 가장 혼잡한 고속도로 중 하나이다.

프랑크푸르트와 다름슈타트 사이의 약 25km 구간은 최초로 8차선으로 건설되었으며, 현재까지 독일에서 가장 긴 아우토반 구간이다. A5는 B3의 바로 서쪽에 위치하여 여러 킬로미터를 병행하며 라슈타트 근처에서 B3를 교차한다. 카를스루에 시에서는 A5가 A 8과 만난다.

1975년에 아우토반 넘버링 제도가 도입되어 본선이 정식으로 "A 5"가 되었다. 그리고 바일 암 라인에서 스위스 국경까지의 구간은 1980년 6월 14일에 개통되어 A 5를 국제 도로로 만들었다.

개통된 구간과 연도는 다음과 같다.

구간개통 연도
에틀링겐 - 브루흐하우젠1955년
브루흐하우젠 - 바덴바덴1956년
바덴바덴 - 뷔르1958년
뷔르 - 아헬른1959년
뮐하임 - 노이엔부르크-메르크트1959년
아헬른 - 오펜부르크1960년
오펜부르크 - 리겔1961년
프라이부르크-남 - 노이엔부르크1961년
리겔 - 프라이부르크-남1962년
메르크트 - 바일 암 라인1963년
바일 암 라인 - 스위스 국경1980년



2007년 3월 5일에는 카를스루에-북 IC가 3년 이상의 건설 기간 끝에 개통되었다. 2008년 4월 28일에는 라슈타트-남 IC가 개통되었고, 원래의 라슈타트 IC는 라슈타트-북 IC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프랑크푸르트-니더라트 IC는 2013년 7월 8일까지 50년 이상 불완전한 상태였다. 북쪽과 남쪽 방향의 입구로 기능했지만, 남쪽 방향에서 온 경우에만 출구로 사용되었다. 북쪽 방향에서 니더라트 지구로 가기 위해서는 다른 IC를 사용해 우회해야 했다. 본 IC에 직접 북쪽 방향 출구를 만들 장소가 부족했기 때문에, 약 1km 떨어진 곳에 출구 전용 램프를 건설하게 되었다.

1970년대 아우토반 건설 계획에 따르면, A 5는 원래 브레머하펜 부근의 노르덴함에서 바젤에 이르는 노선이 될 예정이었다. 당시 기점은 하텐바흐 분기점이 아닌 라이스킬헨 분기점이었다. 두 분기점 사이의 구간은 넘버링 제도 초기에 A 48 구간으로 지정되었다. 라이스킬헨 분기점 이북 구간은 헤센주 북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북동부 및 니더작센 주 중부를 종단하는 계획이 있었으며, 기센, 마르부르크, 발부르크, 렘고, 뤼베케, 브레멘 및 브레머하펜이라는 도시를 직접 프랑크푸르트와 연결할 예정이었다.

A 5 북부 구간 건설 계획은 1985년에 최종적으로 포기되었다. 당시 A 48의 연장 건설 계획 실현도 확률이 낮아짐에 따라, 키르히하임 분기점과 하텐바흐 분기점 사이의 구간을 A 5 구간으로 개명하고, A 5의 기점을 하텐바흐 분기점으로 재설정했다. 해당 변경은 1992년에 도입된 IC 번호 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노선

A5는 헤센 주 북부 하텐바흐 분기점(A7에서 분기)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뻗어 나가며, 라인강을 따라 프랑크푸르트, 다름슈타트, 만하임, 하이델베르크, 카를스루에, 프라이부르크 등 주요 도시를 경유한다.

프랑크푸르트 인근에서는 A3, A66, A648과 교차하며, 다름슈타트 인근에서는 A67, A672와 교차한다.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 진입하여 하이델베르크 인근에서 A6, A656과 교차하고, 카를스루에 인근에서는 A8과 교차한다.

이후 프랑스 국경을 따라 슈바르츠발트와 라인 강 사이의 계곡을 종단하며 바덴바덴, 오펜부르크, 프라이부르크를 거쳐 스위스 국경에 이른다. 노이엔부르크 분기점에서는 프랑스의 A36과 연결되는 지선이 시작된다.

3. 1. 주요 분기점 및 교차로

IC 번호시설명접속 노선
1하텐바흐 분기점A7헤센 주
2알스펠트-동연방 도로 62호선
3알스펠트-서연방 도로 49호선
6홈베르크(옴)
7그륀베르크
8라이스키르헨 분기점A480
9라이스키르헨연방 도로 49호선
10페른발트연방 도로 457호선
11감바흐 교차로A45
12부츠바흐
13바트 나우하임연방 도로 3호선
14오버-뫼를렌연방 도로 275호선
16프리트베르크연방 도로 455호선
17바트 홈부르크 교차로A661
18프랑크푸르트 북서 교차로A66
19프랑크푸르트 서 교차로A648
--프랑크푸르트-렙슈톡[4]
20프랑크푸르트-베스트하펜
21프랑크푸르트-니더라트
22a프랑크푸르트-공항-북연방 도로 43호선
22프랑크푸르트 교차로A3
23체펠린하임
24랑엔/뫼르펠덴연방 도로 486호선
25바이테어슈타트연방 도로 42호선
26다름슈타트 분기점A672
26다름슈타트 교차로A67
27다름슈타트-에버슈타트연방 도로 3호선,
연방 도로 426호선
28제하임-유겐하임
29츠빙겐베르크
30벤스하임연방 도로 47호선
31헤펜하임연방 도로 460호선
32헴스바흐바덴뷔르템베르크 주
33바인하임 교차로A659,
연방 도로 38호선
34힐쉬베르크
35라덴부르크
36도센하임
37하이델베르크 교차로A656,
연방 도로 37호선
38하이델베르크/슈베칭겐연방 도로 535호선
39발도르프/비스로흐연방 도로 291호선
40발도르프 교차로A6
41크로나우
42브루흐잘연방 도로 35호선
43카를스루에-북연방 도로 10호선
44카를스루에-두를라흐연방 도로 10호선
45카를스루에-중앙
46카를스루에 분기점A8
47에틀링겐연방 도로 3호선
48카를스루에-남연방 도로 3호선
49라슈타트-북연방 도로 462호선
50라슈타트-남연방 도로 3호선바덴뷔르템베르크 주
51바덴바덴연방 도로 500호선
52뷔엘
53아허른
54아펜바이이어연방 도로 28호선
55오펜부르크연방 도로 33a호선
56연방 도로 415호선
57a에텐하임
57b루스트
58헤르볼츠하임
59리겔
60테닝겐
61프라이부르크-북연방 도로 294호선
62프라이부르크-중앙연방 도로 31a호선
63프라이부르크-남연방 도로 31호선
64a바트 크로칭겐연방 도로 31호선
64b하르트하임/하이테어스하임
65뮐하임/노이엔부르크연방 도로 378호선
66노이엔부르크 분기점A5 지선
--노이엔부르크/오트마르샤임 국경 통과 지점 A36 (뮐루즈, 브장송 방면)
67에프링겐-키르헨
68바일 암 라인 분기점A98
69바일 암 라인/휘닝겐연방 도로 532호선
70바일 암 라인/클라인휘닝겐 출입국 심사 검문소 A2 (바젤, 루체른 방면)


참조

[1] 웹사이트 Frankfurt Airport https://web.archive.[...] 2020-01-01
[2] 뉴스 Germany's First 'Electric' Highway Charges Trucks as They Drive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9-05-13
[3] 문서
[4] 문서
[5] 웹인용 Frankfurt Airport https://web.archive.[...] 202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